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6

4년 만의 상암, 그리고 폴란드전 게시판에서 티켓을 싸게 산 덕분에 가벼운 마음으로 다녀온 경기네요. 4년 전에 오렌지군단이 왔을 때 와보고 무려 4년만에 상암ㅋ 망원렌즈로 쭈욱 당기던 와중에 잡은 손선수ㅎ 뭔가 마음 고생 많아 보이던데 아직 어리니까 지혜롭게 잘 대처해가길 바랍니다ㅎ 자철 선수도 역시 인기 많더군요. 조병국 선수는 오랜만에 발탁 되었는데 불운이...아쉽네요; 금요일 저녁에 평가전이라 그리 많은 관중이 왔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옹기종기 모여 열심히 응원했답니다. 기성용 선수가 코너킥 차는 모습이네요. 킥력이 정말 대단 하더군요~~정말 꼭 앤필드로 왔으면ㅎ 성용 선수의 코너킥을 곽태휘 선수가 헤딩하던 장면. 거의 들어갈 뻔 했었지요ㅎㅎ 요건 뒤이어진 찬스에서 박캡틴이 골 넣은 후 세리머니ㅋ 국대에서의 존재감을 포병대.. 2011. 10. 22.
아넬카와 베나윤, 이 둘의 'Big4 성지순례'는 가능할까? 가만보자. 그러니까 그때가 언제였더라. 9개월 전쯤 아넬카에 대한 컨텐츠를 쓴 적이 있다. 축구계의 풍운아로 불리는 아넬카는 '맨유'를 제외한 전통의 Big4 클럽을 모두 돌아다닌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다 * 지난 1월에 쓴 아넬카 컨텐츠: 만약 아넬카가 맨유로 간다면? 글을 쓰던 당시만 해도 아넬카와 같은 히스토리를 가진 선수는 아넬카 자신이 거의 유일했다. 첼시-아스날에서 뛰다가 토트넘으로 온 갈라스 정도가 유사한 후보군이 될 수 있겠지만, 맨시티와 토트넘을 신흥강호로 보고 맨유-리버풀-첼시-아스날을 전통의 강호로 (지금의 성적은 논외로 하고)본다면 역시 없어보인다. 그러나 최근 한 선수가 첼시에서 아스날로 임대이적 하면서 아넬카를 잇는 '방랑자 아닌 방랑자'가 탄생하게 되었으니. 그의 이름은 성은 베.. 2011. 10. 5.
110920 지금 시간은 9월 21일 오전 12시 26분. 약간의 정리를 끝내고, 세면 후 모처럼 블로그 글 쓰기 창을 열었다. 귓가에선 성시경의 '소박했던 행복했던'이 흘러나온다. 이런 시간, 이런 날씨에 너무나도 제격인 노래. 매번 쓰고 느끼고 반복하는 말이지만, 시.간.은, 참.빠.르.다 10분이라도 내 하루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야 하는 게 맞는데.. 나는 도 무어가 그리 바쁘다고, 시간이 없다고 변명인가. 뭔가 소재가 있을 때만 포스팅 하려 하니까 더 안쓰게 되는 것 같아. 으윽, 그저 편하게 풀어놓는 포스팅, 잊지 말고 하자. 그나저나 시경님의 '더 아름다워져'도 참 좋구나ㅎ 2011. 9. 21.
[스크랩] 미국 비영리단체 정보 여기 다 있다, Foundation Center 비영리단체 활동가 미국 연수 마지막 기관 방문은 Foundation Center입니다. 유니온스퀘어 근처에 있는 이 곳은 미국에서 가장 막강한 비영리단체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곳입니다. 미국 연수에서 여러 군데 기관 방문을 하였는데, Foundation Center에서는 통역없이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미국에서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비영리단체 정보센터인 이곳의 최주원 부소장님이 한국 교포였기 때문입니다. 최주원 부소장님은 미국의 Foundatin Center 에서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국내에 전파하는 역할도 열심히 하고 있는 분이었습니다. 모든 설명을 한국 말로 듣고 안내도 받고 아주 편안한 분위기였습니다. ▲ Foundation Center ⓒ 이윤기 미국 다른 행사 준비로 Foundatin.. 2011. 9. 16.
[스크랩] SKT, 녹색정보기술로 新 사회적기업 길 열어 SK텔레콤이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의 사회공헌 및 공익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회적기업형 ‘재단법인 행복ICT’를 구로동 디지털단지에 설립했다. 행복 ICT기업의 특징은 정보통신 전문기업의 경영노하우와 뛰어난 기술, 풍부한 인적자원을 기반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정보통신 전문교육기관에서 취약계층에게 IT훈련 프로그램을 지원 육성해 공익추구 IT서비스,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적가치도 추구, 숙련기술자로 양성해 IT관련 업계에서 지속 가능한 직업인으로 활동하도록 직업훈련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기존 사회적기업형 모델과의 차이점이다. 녹색정보통신 사회적기업으.. 2011. 9. 9.
[기사스크랩] "십 년 동안 감사하고 수고 많으셨어요" 10주년 맞은 다음세대재단 기념 사이트 '십년감수' 열어 ▲ 이번 달 10주년을 맞은 다음세대재단 직원들의 모습.10년 전인 2001년 9월 기업의 임직원과 주주들이 스톡옵션, 보너스, 현금 등을 자발적으로 기부해 설립한 재단이 있다. 바로 다음세대재단이다. 방대욱(42) 다음세대재단 총괄실장은 "당시에는 대개의 기업이 수익금을 출연해 기업재단을 만드는 게 보통"이었다며, "다음세대재단과 같이 독특한 경우가 가능했던 건, '세상을 즐겁게 변화시킨다'는 다음커뮤니케이션의 기업 정신이 희망 세대를 만들겠다는 재단의 미션과 일맥상통했기 때문"이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했다. 이번 달 10주년을 맞은 다음세대재단은 지난 8월 '십년감수'라는 별도 기념 사이트(10th.daumfoundation.org)를 열었.. 2011. 9. 6.